과거와 현재의 레코드 거래에 대한 진실
earthprogram의 Jason Jordan - Pt. I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티스트들은 메이저 레이블과 음반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유일한 성공의 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상황이 바뀌어 음악 업계는 냅스터(Napster)의 등장과 함께 변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한동안 많은 레이블이 아티스트들의 거의 모든 수입원을 소유하는 360 계약(360 Deals)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전환했습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와 스트리밍의 DIY 기회와 아티스트와 업계 변호사들의 전문성이 높아진 덕분에 이마저도 과거의 일이 되었습니다.
earthprogram의 제이슨 조던을 만나보세요
그렇다면 오늘날의 아티스트들은 어떻게 지속 가능한 커리어를 쌓을 수 있을까요? earthprogram의 제이슨 조던이 그 해답을 제시합니다. 30년 넘게 음악 산업에 종사한 베테랑인 그는 인디 펑크 레이블부터 세계 최대 규모의 음반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해 왔습니다. 그의 회사인 earthprogram은 요즘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아티스트가 현대 산업을 탐색하고 자신만의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협력합니다.
조던은 최근 바쁜 일정 중에도 시간을 내어 귀중한 인사이트를 공유해 주었습니다. 업계의 비하인드를 살펴보고 Sennheiser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로 나아가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그는 말합니다. 어렸을 때부터 이 일을 해왔습니다.
"저는 12살 때 음반 회사를 시작했습니다". "펑크 록과 하드코어에 푹 빠져 있었고, 그 시대의 정신은 직접 실천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스무 살 때 제가 살던 필라델피아에 음반사들이 제 밴드와 계약을 맺으려고 찾아왔어요.
그 후 거의 30년 동안 메이저 레이블의 A&R(Artists and Repertoire: 신인 아티스트를 발굴, 육성하고 아티스트와 회사 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레코드 레이블 또는 음악 퍼블리싱 회사 내 부서)을 담당했습니다. 저는 콜럼비아 레코드에서 4년, 디즈니가 소유한 할리우드 레코드에서 14년 동안 일했습니다.
그 후 저작권에 관심이 많아 음악 퍼블리싱에 뛰어들었습니다. 저는 Imagem의 사장이자 A&R의 책임자로서 새로운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고 메이저 레이블에서 활성화하려고 노력했습니다. 2016년에는 리퍼블릭 레코드의 A&R의 수석 부사장으로 입사해 2년 동안 근무했습니다."
레코드 레이블: 기존 모델
이러한 커리어를 쌓아온 조던은 음반사의 내부 사정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업계의 전성기를 리무진과 대저택으로 생각하지만, 그는 거의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 대신, 가장 유명한 아티스트라 할지라도 항상 레이블의 수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얼마나 우선시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라고 그는 말합니다. "그러나 계약서에 서명할 때 이미 모든 자산을 포기하는 것이죠. 수표를 받으면 그 돈은 모두 회수할 수 있는데, 이는 음반 판매액에서 수익을 [상환] 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 외에도 앨범 제작에 드는 모든 비용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비용, 비디오 제작 비용, 그리고 기타 발생할 모든 비용은 아티스트의 부채가 됩니다.
저는 메이저 레이블에 있을 때 아티스트들에게 솔직하게 말하곤 했습니다. '제가 엄청난 돈을 드릴 거예요. 앨범은 제작할 예정이지만 오해하진 않았으면 합니다. 7개의 앨범 계약을 맺는다고 해도 여전히 싱글 계약입니다.' 그럼 결국 그리 매력적인 조건은 아닐거에요."
오늘의 레코드 레이블
메이저 음반사들은 여전히 조던의 설명대로 운영되고 있지만, 전통적인 거래 방식은 음반 경제에서 점점 더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요즘 아티스트들은 훨씬 더 많은 DIY 접근 방식에 적응하고 있으며, 레이블이 우선 순위를 재고하도록 독려합니다.
"90년대 초, 저 같은 사람이 클럽에 들어가서 '세상에, 드러머가 정말 놀라워' 이 가수는 엄청난 재능을 가졌어. 가사가 정말 멋지네. 그 기타 연주자는 스타가 될거야!'라고 말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조던은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예전에는 이를 시금석으로 보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재능만 보고 계약하지 않습니다. 이전의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제 모든 메이저 레이블이 스트리밍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오, 3천만 곡을 스트리밍하셨네요. 따라서 메이저 레이블과 계약해야 합니다. 100만 달러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습니다.' '이미 스스로 성공하고 있는데, 우리가 기름을 부어주면 어떤 모습이 될까?'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90%의 경우 그들은 물만 끼얹습니다.
이는 현재 모든 레이블에 해당됩니다. 그들은 아티스트 육성을 전혀 하지 않아요. 실제로 누군가에게 창의적인 과정을 안내해 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스트리밍에 집중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2000년대 초부터 냅스터와 같은 플랫폼이 CD 판매 수익을 잠식하기 시작하면서, 음반사들은 새로운 수익원을 찾기 위해 고심하게 되었습니다. 한동안은 아티스트의 머천다이즈부터 투어 수익까지 모든 것을 가져가는 360 계약이 그 해답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거래는 수익을 충분히 창출할 수 있을 만한 대형 레이블과 아티스트에게만 효과가 있었습니다. 조던은 이제 대기업들도 이 모델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직감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저는 디즈니에서 일했는데, 디즈니에 머천다이징 회사가 있었기 때문에 360 계약을 시도했습니다. 디즈니는 모든 것을 갖추고 있었죠. 하지만 제 생각에 360 모델은 물 건너갔어요. 그렇게 할 의향이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으니까요."
레코드 레이블이 원하는 것
오늘날 레이블은 투자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완성된 제품을 찾고 있습니다. 스트리밍이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것이 새로운 음반 매장입니다. 좋은 소식은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전보다 쉽게 곡을 세상에 내놓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조던이 지적한 바와 같이 나쁜 소식은 이 모델은 여러가지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온라인에서 음악을 발견합니다."라고 그는 말합니다. "TikTok이나 YouTube에서 음악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바로 스포티파이(Spotify) 계정으로 이동하여 아티스트를 검색한 다음 재생 목록에 추가합니다. 그러나 스포티파이에는 매일 12만 개의 새로운 곡이 올라오고 있고, 재생 횟수가 0건인 곡이 수백만은 아니더라도 수십만 곡에 달합니다. 압도적인 수치입니다."
희망적인 전망
음반 비즈니스는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항상 그래왔지만, 스트리밍은 아티스트에게 성공적이고 지속 가능한 커리어를 쌓을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제이슨 조던과의 대화 파트 II에서는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